영거 드라이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거 드라이아스는 약 12,900년 전부터 11,700년 전까지 북반구 고위도 지역에서 일어난 급격한 기후 변화 시기를 말한다. 이 시기는 '드리아스 팔잎꽃'의 화석이 많이 발견된 데서 유래되었으며, 유럽과 북아메리카를 중심으로 기온이 급격히 하강하고 빙하가 확장되었다. 영거 드라이아스의 원인으로는 열염 순환의 약화, 혜성 충돌, 화산 폭발 등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었으며, 생물권과 인류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제10천년기 - 10,000 BC
롤랜드 에머리히 감독의 2008년 영화 《10,000 BC》는 기원전 1만 년을 배경으로, 야갈족 청년 들레이가 '네 발 달린 악마'라 불리는 이민족에게 납치당한 연인 에볼렛과 부족민들을 구하기 위한 여정을 그린 선사 시대 배경의 웅장한 스케일과 시각 효과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 기원전 제11천년기 - 클로비스 문화
클로비스 문화는 약 13,000년 전 북아메리카에 존재했으며 홈이 파인 첨두기 석기 도구를 사용하고 매머드와 같은 대형 동물 사냥에 능숙했던 고고학 문화로, 한때 북미 최초 거주민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아메리카 대륙 초기 인류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기원전 제11천년기 - 아질 문화
아질 문화는 프랑스의 마 드 아질 유적지에서 유래한 후기 구석기 시대에서 초기 중석기 시대로의 전환기 문화로, 프랑코-칸타브리아 지역에 분포하며 채색 또는 조각된 조약돌이 특징이고, 북유럽 문화와 공존하며 기하학적 미세 석기가 나타나기도 했으며, 유전학적 연구로 하플로그룹이 밝혀졌다. - 석기 시대 - 수렵채집사회
수렵채집사회는 인류가 수렵과 채집으로 식량을 얻는 사회 형태이며, 이동 생활과 평등주의적 경향을 보였으나 농업의 등장으로 감소했고, 현재는 극소수만이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 석기 시대 - 중석기 시대
중석기 시대는 빙하기 후 기후 변화에 따른 문화적, 기술적 변화 시기로, 수렵, 어로, 채집 경제와 잔석기 사용을 특징으로 하며, 지역별로 다양한 문화가 존재하고 유럽에서는 홍적세 말기부터 농업 시작 전까지를 지칭한다.
영거 드라이아스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시기 | 기원전 12,900년 ~ 기원전 11,700년 |
별칭 | YD |
다른 이름 | 로흐 로몬드 절정기 |
또 다른 이름 | 나하나간 절정기 |
시기 구분 | 시대 |
지층 단위 | 시대층 |
천체 | 지구 |
시대 단위 | 연대 |
층서 단위 | 연대 구역 |
기후 | |
이산화탄소 농도 | 240 |
기온 | 10.5 |
사건 | |
특징 | 북반구의 빙하 냉각 및 남반구의 온난화 |
원인 | 열염 순환의 큰 변화 |
온도 변화 | 3°C |
온도 변화 | 2~6°C |
온도 변화 | 10°C |
영향 | 갑작스러운 기후 변화 |
기타 | |
관련 | 라허 호수 화산 폭발 |
2. 어원
영거 드라이아스는 알파인–툰드라 야생화인 ''드리아스 팔잎꽃(Dryas octopetala)''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는데, 이 시기에 해당하는 유럽(특히 스칸디나비아)의 퇴적물에서 이 꽃의 화석이 풍부하게 발견되기 때문이다.[16][17] 이 꽃이 유럽에서 풍부했던 이전의 두 지질 시대 간격은 각각 가장 오래된 드라이아스 (약 18,500–14,000년 전)와 오래된 드라이아스 (~14,050–13,900년 전)이다.[16][17]
아일랜드에서는 영거 드라이아스를 '''나하간 냉기'''라고도 불렀으며, 영국에서는 '''로크 로몬드 냉기'''라고 불렀다.[19][20]
3. 기후 변화
고기후는 꽃가루, 빙핵, 해양 및 호수 퇴적물 층과 같은 대리 변수 데이터를 통해 재구성된다.[23] 이러한 증거는 북반구 전체에 걸쳐 상당한 냉각이 약 12,870 ± 30년 BP에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24] 그린란드에서 특히 심각했으며, 온도가 4°C만큼 급격히 감소했다.[25] 그린란드 정상의 온도는 21세기 초보다 최대 15°C 더 낮았다.[26][27]
유럽에서도 약 2°C의 강력한 냉각이 발생했다.[5] 영국 고지대 지역에서는 빙원과 빙하가 형성되었으며, 많은 저지대 지역에서는 영구 동토가 발달하여[28] -5°C의 냉각과 연평균 기온이 -1°C를 넘지 않음을 시사했다.[27][29] 북아메리카 역시 특히 동부 및 중부 지역에서 더 추워졌다.[23] 태평양 북서부 지역은 2°C만큼 냉각되었지만, 북아메리카 서부의 냉각은 일반적으로 덜 강렬했다.[30][31][32][33][34] 멕시코 만 오르카 분지는 해수면 온도가 2.4 ± 0.6°C 하락했지만,[36] 텍사스, 그랜드 캐니언 지역[37] 및 뉴멕시코와 같은 인접한 육지 지역은 대륙 내륙만큼 냉각되지 않았다.[38] [39][40] 미국 남동부는 이전보다 더 따뜻하고 습해졌다.[90][38] 카리브해 주변과 서아프리카에서 온난화가 있었다.[5]
과거에는 영거 드라이아스 시대의 냉각이 북반구 전역에서 거의 동시에 시작된 것으로 여겨졌다.[41] 그러나 2015년에 수행된 연흔 분석에 따르면 냉각은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12,900–13,100년 전에 위도 56–54°N을 따라 처음으로 냉각이 시작되었고, 그 다음 12,600–12,750년 전에 더 북쪽에서 냉각이 진행되었다.[42]
북반구가 냉각되는 동안 남반구에서는 상당한 온난화가 발생했다.[1] 해수면 온도는 0.3°C 더 따뜻했고, 남극,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 남쪽) 및 뉴질랜드 모두 온난화를 경험했다.[5] 순 온도 변화는 비교적 완만한[45] 0.6°C의 냉각이었다.[5] 온도 변화는 1,150–1,300년 동안 지속되었다.[55][80] 국제 층서 위원회에 따르면 약 11,700년 전에 종료되었지만,[46] 일부 연구에서는 이를 11,550년 전으로 보고 있다.[47][48][49][50][51]
종료 역시 급격했다. 이전에 냉각되었던 지역에서는 이전 수준으로의 온난화가 50–60년에 걸쳐 일어났다.[52][1] 열대 지역에서는 수 세기에 걸쳐 더 점진적인 온도 회복이 일어났다.[1] 예외는 코스타리카와 같은 열대 대서양 지역으로, 온도 변화가 그린란드와 유사했다.[53] 이후 홀로세 온난화는 YD 기간 동안 이산화탄소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었다[17] (약 210 ppm에서 약 275 ppm으로[54]).
북반구가 냉각되고 남반구가 따뜻해지면서, 열적도는 남쪽으로 이동했을 것이다. 무역풍은 각 반구에서 열대 수렴대(ITCZ)라고 알려진, 조용하고 구름이 많은 지역의 열적도 상부에서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위치의 변화는 다른 지역의 바람 패턴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동아프리카에서 이 기간 동안 탕가니카호의 퇴적물 혼합이 약해져 이 지역의 바람 시스템이 약해졌음을 나타낸다.[73] 대기 패턴의 변화는 북반구의 여름이 영거 드라이아스 시대에 일반적으로 냉각되지 않은 주된 이유로 여겨진다.[7]
바람은 구름 형태로 수분을 운반하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는 강수량에도 영향을 미쳤다. 스코틀랜드,[74] 북아메리카의 중서부,[75] 아나톨리아, 그리고 중국 남부[76][77][78]를 포함한 일부 지역은 매우 건조해졌고, 사하라 사막을 포함한 북아프리카가 건조해지면서, 바람에 의해 날리는 먼지의 양도 증가했다.[5] 중국 북부를 포함한 다른 지역은 더 습해졌다[78](아마도 산시성 지역 제외)[79]
3. 1. 한반도 및 동아시아
일본 스가에쓰 호와 필리핀 푸에르토 프린세사 지하강 국립공원 푸에르토 프린세사 동굴 복합체의 증거에 따르면, 동아시아의 영거 드라이아스 시작은 북대서양에 비해 수백 년 지연되었다.[43][1]
4. 빙하 및 해수면 변화
영거 드라이아스 냉각기에는 종종 빙하의 전진과 지역 설선의 하강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스칸디나비아,[55] 스위스 알프스,[5] 발칸 반도의 디나르 알프스,[56] 북아메리카의 로키 산맥 북부 산맥,[57][58][59] 위스콘신의 투 크릭스 매장 숲과 뉴욕 주 서부,[60] 캐스케이드 산맥을 포함한 북서 태평양 지역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다.[61][62] 전체 로렌타이드 빙상은 서부 슈피리어 호와 남동부 퀘벡 사이에서 전진하여 이 시기에 해당되는 암석 파편(퇴적구)층을 남겼다.[63] 남동부 알래스카는 빙하 작용을 피한 것으로 보이며, 동굴 생성물인 방해석 침전이 늦춰지기는 했지만 계속 진행되어 영구 동토와 빙하 작용이 없었음을 보여준다.[64]
반면, 남반구의 온난화는 남극, 남아메리카, 뉴질랜드에서 얼음 손실을 초래했다.[65][5] 그린란드는 전체적으로 냉각되었지만, 빙하는 섬 북부에서만 성장했고,[66] 나머지 해안에서는 후퇴했다. 이는 강화된 이르밍거 해류의 영향일 가능성이 높다.[67] 발칸 반도의 야블라니차 산맥 또한 얼음 손실과 빙하 후퇴를 겪었는데, 이는 연간 강수량 감소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렇지 않았다면 얼어붙어 빙하 유지를 도왔을 것이다.[68] 지금과는 달리, 빙하는 스코틀랜드 북부에 여전히 존재했지만, 영거 드라이아스 동안 얇아졌다.[69]
빙하에 포함된 물의 양은 지구의 해수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빙하가 후퇴하면 해수면 상승이 발생하고, 빙하가 성장하면 해수면이 하강한다. 전반적으로 영거 드라이아스 동안 해수면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17] 이는 그 이전과 이후의 급격한 증가, 예를 들어 용융수 펄스 1A와 대조적이다.[17] 해안에서 빙하의 전진과 후퇴는 상대 해수면에도 영향을 미친다. 서부 노르웨이는 스칸디나비아 빙상이 전진하면서 상대 해수면이 10m 상승했다.[70][71] 특히 이 지역의 빙상 전진은 영거 드라이아스의 전 세계적인 시작보다 약 600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71] 수중 메탄 클라트레이트(얼음으로 얼어붙은 메탄) 퇴적물은 종료되면서 급격한 온난화 기간을 포함하여 영거 드라이아스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72]
5. 생물권 변화
드리아스 팔잎꽃(''Dryas octopetala'')은 알파인-툰드라 지역에 서식하는 야생화로, 영거 드라이아스라는 이름은 이 꽃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유럽, 특히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퇴적물에서 이 꽃의 화석이 많이 발견되기 때문이다.[16][17] 이 꽃은 뵐링-알레뢰드 간빙기 동안에는 드물었지만, 이전의 두 지질 시대인 가장 오래된 드라이아스와 오래된 드라이아스 시기에도 유럽에서 많이 발견되었다.[18]
영거 드라이아스는 생물군이 갑작스러운 기후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84] 20세기 초, 스웨덴과 덴마크의 늪지와 호수 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와 암석층 연구를 통해 처음 발견되었다.[83][80][81][82] 특히 덴마크의 알레뢰드 점토 채굴장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화석화된 꽃가루 분석 결과, 빙하기 환경에서만 자라는 ''드리아스 팔잎꽃''이 이전 B-A 간빙기 동안 숲이 있던 지역을 덮기 시작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83]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숲이 빙하성 툰드라로 바뀌었으며, 이 툰드라의 대표적인 식생이 바로 ''드리아스 팔잎꽃''이었다.
아시아에서는 사막 기원의 먼지가 지구 대기 중으로 많이 유입되었다.
레반트 지방에서는 한발이 발생했는데, 이는 나투프 문화에서 농업이 시작된 원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시리아의 텔 아부 후레이라 유적(11050BP, 기원전 9050년경)에서는 가장 오래된 농경의 흔적인 호밀이 발견되었다.[154] 그러나 영거 드라이아스와 농경 시작의 관계에 대해서는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북아메리카 지역의 식생 변화
- 뉴잉글랜드:[85][86][87] 서늘한 여름, 추운 겨울, 적은 강수량으로 인해 홀로세가 시작될 때까지 나무가 없는 툰드라가 나타났고, 이후 타이가 침엽수림이 북쪽으로 이동했다.[44]
- 오대호 남쪽 가장자리: 가문비나무가 급격히 감소하고 소나무가 증가했으며, 초본 초원 식생은 풍부함이 감소했지만 해당 지역 서쪽에서는 증가했다.[88]
- 애팔래치아 산맥 중부: 영거 드라이아스 동안에도 숲이 유지되었지만, 가문비나무와 낙엽송 침엽수림으로 덮여 있었고, 홀로세 동안 온대 활엽수 혼합림으로 바뀌었다.[89]
- 온타리오 호 근처: 서늘한 침엽수림이 홀로세 초까지 지속되었다.[90]
- 중앙 캐스케이드 산맥: 소나무 꽃가루의 증가는 더 서늘한 겨울을 나타낸다.[91]
- 오리건 동굴 국립 기념물 및 보호구역 (오리건 남부 클래머스 산맥): 동굴 생성물에서 영거 드라이아스와 동시대의 기후 냉각 증거가 발견되었다.[92]
- 올림픽 반도: 중간 고도 지역에서 화재 발생이 감소했지만, 숲이 유지되었고 영거 드라이아스 동안 침식이 증가했는데, 이는 서늘하고 습한 조건을 시사한다.[93]
- 오리건 남부: 동굴 생성물 기록은 강수량 증가를 나타낸다.[92][94] 이는 플루비얼 호수의 크기가 북부 그레이트 베이슨에서 증가한 시기와 일치한다.[95]
- 시스키유 산맥: 꽃가루 기록은 영거 드라이아스의 시차가 있음을 시사하며, 해당 산맥에 따뜻한 태평양 조건이 더 큰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낸다.[96]
- 로키 산맥 지역: 영향은 다양했다.[97][98] 일부 지역에서는 식생 변화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었다.[100] 북부 로키 산맥에서는 소나무와 전나무의 현저한 증가는 이전보다 더 따뜻한 조건을 시사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고산 공원으로의 변화를 나타낸다.[99][100][101][102] 이는 제트 기류의 북쪽 이동, 여름 태양 복사 증가[99][103]와 함께 오늘날보다 높은 겨울 적설량, 더 길고 습한 봄 계절의 결과로 추정된다.[104]
6. 인류 사회에 미친 영향
영거 드라이아스는 종종 신석기 혁명과 연관되며, 레반트 지역에서 농업이 채택되었다.[105][106] 춥고 건조한 영거 드라이아스는 이 지역의 수용력을 낮추고, 정착 생활을 하던 초기 나투피안 인구를 더 이동적인 생계 패턴으로 몰아넣었을 수 있다.[107] 더 심한 기후 악화가 곡물 경작을 가져왔다고 여겨진다. 나투피안 시대 동안 생계 패턴 변화에서 영거 드라이아스의 역할에 대한 상대적인 합의가 있는 반면, 이 시기 말 농업의 시작과의 연관성은 여전히 논쟁 중에 있다.[108][109]
영거 드라이아스는 종종 서아시아에서의 농경 시작과 연관된다. 한랭화와 건조화가 그 지역의 환경 수용력 저하를 가져와 전기 나투프 문화 시대 주민의 생활 양식을 변화시키고, 더욱 심한 기후 악화로 식량을 생산할 필요성이 생겼다는 설이 있다. 한편, 이 한랭화가 종료된 것이 농업의 시작과 관계있다는 설도 있어,[154] 이 문제에 대해서는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시리아의 텔 아부 후레이라 유적(11050BP, 기원전 9050년경)에서는 가장 오래된 농경의 흔적(호밀)이 발견되었다.
7. 원인
영거 드라이아스 현상의 원인으로는 여러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 열염 순환 약화: 가장 유력한 가설 중 하나는 열염 순환의 약화이다.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AMOC)을 통해 북쪽으로 이동하는 따뜻한 열대 해수가 감소하면서, 북대서양 지역의 기온이 하강했다는 것이다. 원래는 애거시 호의 물이 세인트로렌스 수로를 통해 북대서양으로 유입되었다는 가설이 있었지만, 최근 연구는 매켄지 강을 통해 유출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 기타 요인: 페노스칸디아 빙상의 용융, 로렌타이드 빙상의 용융으로 인한 강우량 증가, 얼음-알베도 피드백, 북극해 해빙의 영향 등도 고려되고 있다.
- 화산 폭발: 일부 과학자들은 화산 폭발로 인한 이산화황 입자가 햇빛을 반사하여 냉각 효과를 유발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 영거 드라이아스 충돌 가설: 붕괴된 혜성 또는 소행성 충돌이 원인이라는 가설도 있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는 지구적 과정으로 설명 가능하다며 이 가설을 기각한다.
최종 빙기가 끝나고 온난화가 시작되던 중 발생한 영거 드라이아스는 급격한 한랭화 현상으로, 그 원인에 대한 논의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7. 1. 열염 순환 약화
과학적 합의에 따르면 영거 드라이아스는 열염 순환의 상당한 감소 또는 중단과 관련이 있다. 열염 순환은 따뜻한 열대 해수를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AMOC)을 통해 북쪽으로 순환시킨다.[5][10] 이는 기후 모델 시뮬레이션[1] 뿐만 아니라 북대서양 해수의 최하층 환기 감소(표면으로부터의 산소 노출)와 같은 다양한 간접 증거와 일치한다. 서부 아열대 북대서양의 코어는 "심층수"가 1,000년 동안 그곳에 머물렀으며, 이는 약 1,500년 전의 같은 지역의 후기 홀로세 심층수의 두 배의 나이임을 보여준다.[110] 또한, 그렇지 않았다면 이상했을 미국의 남동부 온난화는 AMOC가 약해지고 북대서양 환류를 통해 카리브해에서 유럽으로 열을 덜 운반함에 따라 더 많은 열이 연안 해역에 갇히게 된다는 가설과 일치한다.[111]원래는 고대 역사의 애거시 호에서 발생한 대규모 분출이 세인트로렌스 수로를 통해 북대서양을 범람시켰다고 가설을 세웠지만, 지질학적 증거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112] 예를 들어, 대규모의 용융수와 예상했던 대로 염도가 세인트로렌스 수로에서 감소하지 않았다.[117] 대신, 최근 연구는 홍수가 현재 캐나다의 매켄지 강을 따라 경로를 따랐고,[113][114] 퇴적물 코어는 가장 강력한 분출이 영거 드라이아스 시작 직전에 발생했음을 보여준다.[115]
다른 요인들도 영거 드라이아스 기후에서 주요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일부 연구는 그린란드의 기후가 당시 존재했던 페노스칸디아 빙상의 용융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그린란드가 영거 드라이아스 동안 가장 급격한 기후 변화를 겪었던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116] 기후 모델 또한 아무리 큰 단일 담수 분출이라도 다른 요인이 관련되지 않는 한 영거 드라이아스 타임라인에서 요구하는 대로 1,000년 이상 AMOC를 약화시키지 못했을 것이라고 나타낸다.[118] 일부 모델링은 로렌타이드 빙상의 용융이 대서양에 더 많은 강우를 유발하여 담수를 공급함으로써 AMOC를 약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117] 영거 드라이아스가 시작되면 낮아진 온도는 북반구 전역에서 강설량을 증가시켜 얼음-알베도 피드백을 증가시켰을 것이다. 또한, 녹는 눈은 강수량보다 북대서양으로 더 많이 범람할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며, 이는 물이 얼어붙은 땅에 흡수되는 양이 더 적었기 때문이다.[118] 다른 모델링은 북극해의 해빙이 영거 드라이아스 시작 시점에 수십 미터 두께였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빙산을 북대서양으로 흘려보내 순환을 지속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었을 것이라고 보여준다.[119] 특히 해빙 덮개의 변화는 해수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이며, 이는 영거 드라이아스, 특히 시작 시점에 상당한 해수면 상승이 없었다는 것과 일치한다.[120]
일부 과학자들은 영거 드라이아스 시작 시 해수면 상승이 없었던 것을 화산 폭발과 연결하여 설명한다.[13] 폭발은 종종 대량의 이산화황 입자를 대기 중에 증착하며, 이는 에어로졸로 알려져 있으며, 햇빛을 반사하여 큰 냉각 효과를 낼 수 있다. 이 현상은 인간이 유발한 황 오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를 지구 온난화라고 한다.[121] 고위도 화산 폭발로 인한 냉각은 북대서양 해빙 성장을 가속화하여 마침내 AMOC를 충분히 기울여 영거 드라이아스를 유발했을 수 있다.[13] 동굴 퇴적물과 빙하 코어 모두 영거 드라이아스 시작과 가까운 시기에 북반구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화산 폭발이 발생했다는 증거를 포함하고 있으며,[15][14] 심지어 영거 드라이아스 이벤트의 시작에 대한 석순에서 파생된 날짜와 완전히 일치할 수도 있다.[24] 이 폭발은 서기 동안 발생한 어떤 폭발보다 더 강력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중 일부는 수십 년 동안 냉각을 유발할 수 있었다.[14]
1990년대 연구에 따르면, 라아허 호 폭발(현재 라인란트팔츠, 독일의 화산 호수)이 기준과 일치했을 것이지만,[122][123] 2021년에 수행된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은 폭발 날짜를 영거 드라이아스가 시작되기 백 년 이상 전인 13,006년 BP로 밀어냈다.[124] 이 분석은 2023년에 이의가 제기되었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방사성 탄소 분석이 마그마 이산화탄소에 의해 오염되었다고 제안했다.[125] 현재로서는, 화산 가설의 결정적인 증명 또는 기각 없이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14]
7. 2. 담수 유입 경로
과학자들은 영거 드라이아스가 열염 순환의 상당한 감소 또는 중단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열염 순환은 따뜻한 열대 해수를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AMOC)을 통해 북쪽으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5][10] 이는 기후 모델 시뮬레이션[1]뿐만 아니라, 북대서양 해수 최하층의 환기 감소(표면으로부터의 산소 노출)와 같은 다양한 간접 증거와도 일치한다. 서부 아열대 북대서양의 코어는 "심층수"가 1,000년 동안 그곳에 머물렀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약 1,500년 전 같은 지역의 후기 홀로세 심층수의 두 배에 달하는 기간이다.[110] 또한, 미국의 남동부 온난화는 AMOC가 약해지고 북대서양 환류를 통해 카리브해에서 유럽으로 열이 덜 운반되면서 더 많은 열이 연안 해역에 갇히게 된다는 가설과 일치한다.[111]원래는 고대 애거시 호에서 발생한 대규모 분출이 세인트로렌스 수로를 통해 북대서양을 범람시켰다는 가설이 있었지만, 지질학적 증거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112] 예를 들어, 세인트로렌스 수로에서는 대규모 용융수나 예상했던 염도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117] 대신, 최근 연구에 따르면 홍수는 현재 캐나다의 매켄지 강을 따라 경로를 따랐으며,[113][114] 퇴적물 코어는 가장 강력한 분출이 영거 드라이아스 시작 직전에 발생했음을 보여준다.[115]
최종 빙하기가 끝나고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이전까지 북대서양 중위도까지만 북상했던 난류인 멕시코 만류가 고위도까지 도달하여 대기 중으로 열을 방출하며 침강했다. 이 열 방출로 인해 유럽은 고위도까지 온난화되었고, 대륙 빙상은 급속도로 축소되었다. 북아메리카에서도 빙상이 후퇴했지만, 융해된 빙상은 현재의 오대호보다 더 큰 애거시 호를 형성했고, 여기서 넘쳐흐른 막대한 양의 담수는 미시시피 강을 통해 멕시코 만으로 흘러 들어갔다.
그러나 빙상이 북쪽으로 후퇴하면서 세인트로렌스 강의 유로가 얼음 밑에서 나타났고, 애거시 호의 물은 세인트로렌스 강을 통해 북대서양으로 유출되기 시작했다. 이 막대한 양의 담수는 비중이 해수보다 작아 북대서양 표층에 퍼졌고, 멕시코 만류의 북상과 열 방출을 방해하여 유럽이 다시 한랭화되고 전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7. 3. 기타 요인
다른 지질 시대와 마찬가지로, 영거 드라이아스 시대의 고기후는 꽃가루, 빙핵, 해양 및 호수 퇴적물 층과 같은 대리 변수 데이터를 통해 재구성된다.[23] 이러한 증거는 북반구 전체에 걸쳐 상당한 냉각이 약 12,870 ± 30년 BP에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24]과학적 합의는 영거 드라이아스와 열염 순환의 상당한 감소 또는 중단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는 따뜻한 열대 해수를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AMOC)을 통해 북쪽으로 순환시킨다.[5][10] 이는 기후 모델 시뮬레이션,[1] 뿐만 아니라 북대서양 해수의 최하층 환기 감소(표면으로부터의 산소 노출)와 같은 다양한 간접 증거와 일치한다. 서부 아열대 북대서양의 코어는 "심층수"가 1,000년 동안 그곳에 머물렀으며, 이는 약 1,500년 전의 같은 지역의 후기 홀로세 심층수의 두 배의 나이임을 보여준다.[110] 또한, 그렇지 않았다면 이상했을 미국의 남동부 온난화는 AMOC가 약해지고 북대서양 환류를 통해 카리브해에서 유럽으로 열을 덜 운반함에 따라 더 많은 열이 연안 해역에 갇히게 된다는 가설과 일치한다.[111]
원래는 고대 역사의 애거시 호에서 발생한 대규모 분출이 세인트로렌스 수로를 통해 북대서양을 범람시켰다고 가설을 세웠지만, 지질학적 증거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112] 예를 들어, 대규모의 용융수와 예상했던 대로 염도가 세인트로렌스 수로에서 감소하지 않았다.[117] 대신, 최근 연구는 홍수가 현재 캐나다의 매켄지 강을 따라 경로를 따랐고,[113][114] 퇴적물 코어는 가장 강력한 분출이 영거 드라이아스 시작 직전에 발생했음을 보여준다.[115]
다른 요인들도 영거 드라이아스 기후에서 주요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일부 연구는 그린란드의 기후가 당시 존재했던 페노스칸디아 빙상의 용융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그린란드가 영거 드라이아스 동안 가장 급격한 기후 변화를 겪었던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116] 기후 모델 또한 아무리 큰 단일 담수 분출이라도 다른 요인이 관련되지 않는 한 영거 드라이아스 타임라인에서 요구하는 대로 1,000년 이상 AMOC를 약화시키지 못했을 것이라고 나타낸다.[118] 일부 모델링은 로렌타이드 빙상의 용융이 대서양에 더 많은 강우를 유발하여 담수를 공급함으로써 AMOC를 약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이를 설명한다.[117] 영거 드라이아스가 시작되면 낮아진 온도는 북반구 전역에서 강설량을 증가시켜 얼음-알베도 피드백을 증가시켰을 것이다. 또한, 녹는 눈은 강수량보다 북대서양으로 더 많이 범람할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며, 이는 물이 얼어붙은 땅에 흡수되는 양이 더 적었기 때문이다.[118] 다른 모델링은 북극해의 해빙이 영거 드라이아스 시작 시점에 수십 미터 두께였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빙산을 북대서양으로 흘려보내 순환을 지속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었을 것이라고 보여준다.[119] 특히 해빙 덮개의 변화는 해수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이며, 이는 영거 드라이아스, 특히 시작 시점에 상당한 해수면 상승이 없었다는 것과 일치한다.[120]
일부 과학자들은 또한 영거 드라이아스 시작 시 해수면 상승이 없었던 것을 화산 폭발과 연결하여 설명한다.[13] 폭발은 종종 대량의 이산화황 입자를 대기 중에 증착하며, 이는 에어로졸로 알려져 있으며, 햇빛을 반사하여 큰 냉각 효과를 낼 수 있다. 이 현상은 또한 인간이 유발한 황 오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지구 온난화라고 한다.[121] 고위도 화산 폭발로 인한 냉각은 북대서양 해빙 성장을 가속화하여 마침내 AMOC를 충분히 기울여 영거 드라이아스를 유발했을 수 있다.[13] 동굴 퇴적물과 빙하 코어 모두 영거 드라이아스 시작과 가까운 시기에 북반구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화산 폭발이 발생했다는 증거를 포함하고 있으며,[15][14] 심지어 영거 드라이아스 이벤트의 시작에 대한 석순에서 파생된 날짜와 완전히 일치할 수도 있다.[24] 이 폭발은 서기 동안 발생한 어떤 폭발보다 더 강력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중 일부는 수십 년 동안 냉각을 유발할 수 있었다.[14]
1990년대 연구에 따르면, 라아허 호 폭발(현재 라인란트팔츠, 독일의 화산 호수)이 기준과 일치했을 것이지만,[122][123] 2021년에 수행된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은 폭발 날짜를 영거 드라이아스가 시작되기 백 년 이상 전인 13,006년 BP로 밀어냈다.[124] 이 분석은 2023년에 또한 이의가 제기되었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방사성 탄소 분석이 마그마 이산화탄소에 의해 오염되었다고 제안했다.[125] 현재로서는, 화산 가설의 결정적인 증명 또는 기각 없이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14]
7. 4. 영거 드라이아스 충돌 가설
열염 순환의 상당한 감소 또는 중단은 영거 드라이아스와 연결되며, 이는 따뜻한 열대 해수를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AMOC)을 통해 북쪽으로 순환시킨다.[5][10] 이는 기후 모델 시뮬레이션[1] 뿐만 아니라 북대서양 해수의 최하층 환기 감소(표면으로부터의 산소 노출)와 같은 다양한 간접 증거와 일치한다. 서부 아열대 북대서양의 코어는 "심층수"가 1,000년 동안 그곳에 머물렀으며, 이는 약 1,500년 전의 같은 지역의 후기 홀로세 심층수의 두 배의 나이임을 보여준다.[110] 또한, 그렇지 않았다면 이상했을 미국의 남동부 온난화는 AMOC가 약해지고 북대서양 환류를 통해 카리브해에서 유럽으로 열을 덜 운반함에 따라 더 많은 열이 연안 해역에 갇히게 된다는 가설과 일치한다.[111]원래는 고대 역사의 애거시 호에서 발생한 대규모 분출이 세인트로렌스 수로를 통해 북대서양을 범람시켰다고 가설을 세웠지만, 지질학적 증거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112] 예를 들어, 대규모의 용융수와 예상했던 대로 염도가 세인트로렌스 수로에서 감소하지 않았다.[117] 대신, 최근 연구는 홍수가 현재 캐나다의 매켄지 강을 따라 경로를 따랐고,[113][114] 퇴적물 코어는 가장 강력한 분출이 영거 드라이아스 시작 직전에 발생했음을 보여준다.[115]
다른 요인들도 영거 드라이아스 기후에서 주요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일부 연구는 그린란드의 기후가 당시 존재했던 페노스칸디아 빙상의 용융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그린란드가 영거 드라이아스 동안 가장 급격한 기후 변화를 겪었던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116] 기후 모델 또한 아무리 큰 단일 담수 분출이라도 다른 요인이 관련되지 않는 한 영거 드라이아스 타임라인에서 요구하는 대로 1,000년 이상 AMOC를 약화시키지 못했을 것이라고 나타낸다.[118]
일부 과학자들은 영거 드라이아스 시작 시 해수면 상승이 없었던 것을 화산 폭발과 연결하여 설명한다.[13] 화산 폭발은 종종 대량의 이산화황 입자를 대기 중에 증착하며, 이는 에어로졸로 알려져 있으며, 햇빛을 반사하여 큰 냉각 효과를 낼 수 있다. 동굴 퇴적물과 빙하 코어 모두 영거 드라이아스 시작과 가까운 시기에 북반구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화산 폭발이 발생했다는 증거를 포함하고 있으며,[15][14] 심지어 영거 드라이아스 이벤트의 시작에 대한 석순에서 파생된 날짜와 완전히 일치할 수도 있다.[24]
영거 드라이아스 충돌 가설(YDIH)은 냉각 현상의 원인을 붕괴된 혜성 또는 소행성의 충돌로 본다.[126] 이 가설 지지자들은 충돌이 로렌타이드 빙상에 일어났고, 충돌구는 홀로세 동안 빙상이 녹으면서 사라졌거나,[128] 또는 공중 폭발로 인해 미세 입자와 나노 입자만 증거로 남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26]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이 가설을 기각하며, 모든 미세 입자는 지구적 과정으로 충분히 설명된다고 주장한다.[127]
8. 유사 사건
통계 분석에 따르면 영거 드라이아스는 지난 12만 년 동안 있었던 25개 또는 26개의 Dansgaard–Oeschger 사건 (D–O 사건) 중 마지막 사건일 뿐이다.[130] 이러한 사건들은 수십 년 또는 수백 년의 시간 척도로 AMOC의 급격한 변화가 특징이다.[131][132] 영거 드라이아스는 가장 최근 사건이기에 가장 잘 알려져 있고 이해되고 있지만, 지난 12만 년 동안의 이전의 추운 시기와 근본적으로 유사하다. 이러한 유사성은 충격 가설을 매우 비현실적으로 만들며, 또한 아가시 호 가설과 모순될 수 있다.[130] 반면에 일부 연구에서는 화산 활동을 D–O 사건과 연관시키며, 이는 화산 가설을 뒷받침할 수 있다.[133][134]
영거 드라이아스와 유사한 사건은 다른 종결 기간 동안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종결 기간은 추운 빙하기 조건에서 따뜻한 간빙기로의 비교적 빠른 전환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135][136] 호수 및 해양 퇴적물 분석을 통해 특정 지질과 긴 사슬 알케논의 존재 여부로부터 과거 온도를 재구성할 수 있는데, 이 분자들이 온도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이다.[135][136] 이러한 분석은 종결 II (해양 동위원소 단계 6의 종료, ~13만 년 전), III (해양 동위원소 단계 8의 종료, ~24만 3천 년 전)[137] 및 종결 IV (해양 동위원소 단계 10의 종료, ~33만 7천 년 전) 동안 영거 드라이아스와 유사한 사건이 있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138][139] 빙상 코어 및 고식물학적 데이터로부터 얻은 추가 증거와 결합하여, 일부 연구자들은 영거 드라이아스와 유사한 사건이 모든 탈빙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한다고 주장해 왔다.[137][140][141]
9. 대중문화
2004년 영화 《투모로우》는 북대서양 해류 순환의 붕괴로 인한 치명적인 기후 변화를 묘사하며, 이는 일련의 이상 기후 현상을 일으켜 새로운 빙하기를 초래하는 급격한 기후 변화로 이어진다.[142]
참조
[1]
논문
Gradual onset and recovery of the Younger Dryas abrupt climate event in the tropics
2015-09-02
[2]
논문
Geomorphology and sedimentology of features formed at the outlet during the final drainage of the Baltic Ice Lake
[3]
논문
A new Greenland ice core chronology for the last glacial termination
https://epic.awi.de/[...]
2006
[4]
웹사이트
Big freeze: Earth could plunge into sudden ice age
http://www.livescien[...]
2009-12-02
[5]
간행물
The Younger Dryas Climate Event
http://people.oregon[...]
Elsevier
[6]
논문
Mechanisms of abrupt climate change of the last glacial period
2008-10-03
[7]
논문
Warm summers during the Younger Dryas cold reversal
2018-04-24
[8]
보고서
Chapter 5: Global Carbon and other Biogeochemical Cycles and Feedbacks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9]
논문
Abrupt climate changes in the last two deglaciations simulated with different Northern ice sheet discharge and insolation
2021-11-25
[10]
논문
Chapter 8: Water Cycle Changes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논문
Younger Dryas: A data to model comparison to constrain the strength of the overturning circulation.
[12]
논문
Putting the Younger Dryas cold event into context
2010
[13]
논문
Evaluating the link between the sulfur-rich Laacher See volcanic eruption and the Younger Dryas climate anomaly
2018-07-04
[14]
논문
Volcanic climate forcing preceding the inception of the Younger Dryas: Implications for tracing the Laacher See eruption
2021-12
[15]
논문
Volcanic origin for Younger Dryas geochemical anomalies ca. 12,900 cal B.P.
2020-07-31
[16]
논문
Quaternary stratigraphy of Norden, a proposal for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2008-01-16
[17]
논문
Global warming preceded by increasing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https://www.research[...]
2012-04-04
[18]
서적
European Glacial Landscapes: The Last Deglaciation
Elsevier
[19]
논문
Rapid climatic changes during the Greenland stadial 1 (Younger Dryas) to early Holocene transition on the Norwegian Barents Sea coast
[20]
논문
A Lateglacial pollen record from Hallsenna Moor, near Seascale, Cumbria, NW England, with evidence for arid conditions during the Loch Lomond (Younger Dryas) Stadial and early Holocene
[21]
논문
An event stratigraphy for the Last Termination in the North Atlantic region based on the Greenland ice-core record: a proposal by the INTIMATE group
1998-07
[22]
논문
Mapping Post-Glacial expansions: The Peopling of Southwest Asia
2017
[23]
논문
Abrupt climate oscillations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in central North America
1998
[24]
논문
Timing and structure of the Younger Dryas event and its underlying climate dynamics
2020-09-22
[25]
논문
Greenland temperature response to climate forcing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https://escholarship[...]
2014-09-05
[26]
논문
The Younger Dryas cold interval as viewed from central Greenland
[27]
논문
Timing of abrupt climate change at the end of the Younger Dryas interval from thermally fractionated gases in polar ice
[28]
논문
The Loch Lomond stadial in the British Isles
[29]
논문
Seasonal temperatures in Britain during the past 22,000 years, reconstructed using beetle remains
[30]
논문
High-resolution climatic evolution of coastal northern California during the past 16,000 years
2003-03-01
[31]
논문
Sea surface temperatures in the subarctic northeast Pacific reflect millennial-scale climate oscillations during the last 16 kyrs
2001-04-15
[32]
논문
Evidence for Younger Dryas-age cooling on the North Pacific coast of America
1993-01-01
[33]
논문
Midge-inferred Holocene summer temperatures in southeastern British Columbia, Canada
2008-01
[34]
논문
A high-resolution speleothem record of climatic variability at the Allerød–Younger Dryas transition in Missouri, central United States
2001-12-25
[36]
논문
Deglacial abrupt climate change in the Atlantic Warm Pool: A Gulf of Mexico perspective
2010-12-07
[37]
논문
Carbon isotopes from fossil packrat pellets and elevational movements of Utah agave plants reveal the Younger Dryas cold period in Grand Canyon, Arizona
[38]
논문
Would North American Paleoindians have noticed Younger Dryas age climate changes?
2010-03-01
[39]
논문
C4 Plant productivity and climate – {{CO2}} variations in south-central Texas during the late Quaternary
2002-09-01
[40]
논문
Changing amounts and sources of moisture in the U.S. southwest since the Last Glacial Maximum in response to global climate change
2014-09-01
[41]
논문
Nearly synchronous climate change in the Northern Hemisphere during the last glacial termination
1997-07-17
[42]
논문
Time-transgressive environmental shifts across Northern Europe at the onset of the Younger Dryas
[43]
논문
Asynchronous climate changes in the North Atlantic and Japan during the last termination
[44]
논문
Younger Dryas paleoenvironments and ice dynamics in northern Maine: A multi-proxy, case history
2016-03-01
[45]
논문
A global perspective on Last Glacial Maximum to Holocene climate change
2010-07-01
[46]
논문
Formal definition and dating of the GSSP, etc.
http://www.stratigra[...]
2019-11-11
[47]
논문
The Holocene-Younger Dryas transition recorded at Summit, Greenland
https://cloudfront.e[...]
[48]
논문
Revisions and extension of the Hohenheim oak and pine chronologies: New evidence about the timing of the Younger Dryas/Preboreal transition
[49]
논문
A calendar age estimate of the Younger Dryas-Holocene boundary at Krakenes, western Norway
[50]
논문
4 ± 1.5 °C abrupt warming 11,270 years ago identified from trapped air in Greenland ice
[51]
논문
Synchronous radiocarbon and climate shifts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52]
논문
Abrupt increase in Greenland snow accumulation at the end of the Younger Dryas event
[53]
논문
Rapid climate changes in the tropical Atlantic region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https://escholarship[...]
1996-03-07
[54]
논문
Rapid late-glacial atmospheric CO 2 changes reconstructed from the stomatal density record of fossil leaves
https://onlinelibrar[...]
2023-12-19
[55]
서적
Younger Dryas oscillation, global evidence.
Elsevier B.V.
[56]
논문
Last Glacial Maximum and Younger Dryas piedmont glaciations in Blidinje, the Dinaric Mountains (Bosnia and Herzegovina): insights from 36Cl cosmogenic dating
2019-06-24
[57]
논문
Holocene and latest Pleistocene alpine glacier fluctuations: a global perspective
2009-10-01
[58]
논문
Latest pleistocene and early Holocene fluctuations of glaciers in the Canadian and northern American Rockies
1997-01-01
[59]
논문
Morphologic and stratigraphic evidence for Allerød and Younger Dryas age glacier fluctuations of the Cordilleran ice sheet, British Columbia, Canada, and northwest Washington, U.S.A
2002-06-01
[60]
논문
Evidence for a late glacial advance near the beginning of the Younger Dryas in western New York State: An event postdating the record for local Laurentide ice sheet recession
2020-11-17
[61]
논문
Younger Dryas readvance in Squamish river valley, southern Coast mountains, British Columbia
[62]
논문
Extent, timing, and climatic implications of glacier advances Mount Rainier, Washington, U.S.A., at the Pleistocene/Holocene transition
1998-12-01
[63]
논문
Age verification of the Lake Gribben forest bed and the Younger Dryas advance of the Laurentide ice sheet
1999-03-25
[64]
논문
Millennial-scale glacial climate variability in Southeastern Alaska follows Dansgaard-Oeschger cyclicity
https://www.nature.c[...]
2024-11-08
[65]
웹사이트
New clue to how last ice age ended
https://www.scienced[...]
[66]
논문
A Younger Dryas re-advance of local glaciers in north Greenland
https://www.scienced[...]
2016-09-01
[67]
논문
Greenland ice mass loss during the Younger Dryas driven by Atlantic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 feedbacks
2018-08-09
[68]
논문
Last deglaciation in the central Balkan Peninsula: Geochronological evidence from the Jablanica Mt. (North Macedonia)
2020-02-15
[69]
서적
The British Palaeolithic: Human Societies at the Edge of the Pleistocene World
Routledge
[70]
논문
Calendar year age estimates of Allerød–Younger Dryas sea-level oscillations at Os, western Norway
2004-07-01
[71]
논문
Sea-level fluctuations imply that the Younger Dryas ice-sheet expansion in western Norway commenced during the Allerød
[72]
논문
Late Quaternary Atmospheric CH 4 Isotope Record Suggests Marine Clathrates Are Stable
2006-02-10
[73]
논문
Abrupt climate change in southeast tropical Africa influenced by Indian monsoon variability and ITCZ migration
2007-08-11
[74]
논문
Influence of seasonality on glacier mass balance, and implications for palaeoclimate reconstructions
2009-06-30
[75]
논문
Isotopic evidence for Younger Dryas aridity in the North American midcontinent
[76]
논문
Eastern Mediterranean hydroclimate over the late glacial and Holocene, reconstructed from the sediments of Nar lake, central Turkey, using stable isotopes and carbonate mineralogy
https://nottingham-r[...]
2015-09-15
[77]
논문
Timing and climatic impact of Greenland interstadials recorded in stalagmites from northern Turkey
2009-10-06
[78]
논문
Abrupt variations of Indian and East Asian summer monsoons during the last deglacial stadial and interstadial
2014-08-01
[79]
논문
Nonlagged Response of Vegetation to Climate Change During the Younger Dryas: Evidence from High-Resolution Multiproxy Records from an Alpine Lake in Northern China
2018-06-27
[80]
논문
Synchronized terrestrial-atmospheric deglacial records around the North Atlantic
1996-11-15
[81]
서적
Svenska växtvärldens historia
P.A. Norstedt & Söner
[82]
논문
Det senglacie ler i Allerød tegelværksgrav
https://babel.hathit[...]
[83]
논문
The discovery of the Younger Dryas, and comments on the current meaning and usage of the term
2021-11-04
[84]
논문
Regional variation in the terminal Pleistocene and early Holocene radiocarbon record of eastern North America
2013-03
[85]
논문
Global Younger Dryas?
1995-01-01
[86]
논문
Parallel climate and vegetation responses to the early Holocene collapse of the Laurentide Ice Sheet
2002-09
[87]
논문
Rapid and widespread vegetation responses to past climate change in the North Atlantic region
2002-11-01
[88]
논문
Dissimilarity analyses of late-Quaternary vegetation and climate in eastern North America
2001-12-01
[89]
논문
Vegetation history in central Kentucky and Tennessee (USA) during the last glacial and deglacial periods
2012-03
[90]
논문
A tree-ring chronology and paleoclimate record for the Younger Dryas–Early Holocene transition from northeastern North America
2017-04-01
[91]
논문
Late-glacial vegetation and climate change in western Oregon
1998-05
[92]
논문
A speleothem record of Younger Dryas cooling, Klamath Mountains, Oregon, USA
2005-09-01
[93]
논문
Post-glacial climate and fire-mediated vegetation change on the western Olympic Peninsula, Washington, USA
http://doi.wiley.com[...]
2013-11
[94]
논문
Evidence for millennial-scale climate change during Marine Isotope Stages 2 and 3 at Little Lake, western Oregon, USA
https://digitalcommo[...]
2001-07
[95]
논문
Great Basin aquatic systems history
2002-12-11
[96]
논문
Postglacial vegetation, fire, and climate history of the Siskiyou Mountains, Oregon, USA
2005-07
[97]
서적
Hunter-gatherer behavior: Human response during the Younger Dryas
Left Coast Press
2013
[98]
논문
A record of post-glacial moraine deposition and tephra stratigraphy from Otokomi Lake, Rose Basin, Glacier National Park, Montana
2006-04-01
[99]
논문
A 28,000 year history of vegetation and climate from Lower Red Rock Lake, Centennial Valley, southwestern Montana, USA
2012-04-01
[100]
논문
Postglacial fire, vegetation, and climate history in the Clearwater Range, northern Idaho, USA
2003-07
[101]
웹사이트
Precise cosmogenic {{sup|10}}Be measurements in western North America: Support for a global Younger Dryas cooling event
https://www.research[...]
2017-06-12
[102]
논문
Age of the Crowfoot advance in the Canadian Rocky Mountains: A glacial event coeval with the Younger Dryas oscillation
1994-05-01
[103]
논문
Rapid response of alpine timberline vegetation to the Younger Dryas climate oscillation in the Colorado Rocky Mountains, USA
2000-01-01
[104]
논문
Last glacial–interglacial environments in the southern Rocky Mountains, USA and implications for Younger Dryas-age human occupation
2012-01
[105]
서적
The Dawn of Farming in the Near East
Ex Oriente
2002-12-31
[106]
서적
After the Ice: A global human history, 20,000–5000 BC
Harvard University Press
[107]
서적
Built on Bones: 15,000 years of urban life and death
Bloomsbury Sigma
[108]
간행물
Small game, the younger dryas, and the transition to agriculture in the southern levant
http://www.anth.ucon[...]
2005-12-08
[109]
간행물
Archaeology: The tangled roots of agriculture
[110]
간행물
Ocean ventilation and sedimentation since the glacial maximum at 3 km in the western North Atlantic
2002-06-22
[111]
간행물
Evidence for warm wet Heinrich events in Florida
2006-09
[112]
간행물
Was the Younger Dryas triggered by a flood?
[113]
간행물
Identification of Younger Dryas outburst flood path from Lake Agassiz to the Arctic Ocean
2010
[114]
간행물
Deglacial floods in the Beaufort Sea preceded Younger Dryas cooling
2018-08
[115]
간행물
Arctic drainage of Laurentide Ice Sheet meltwater throughout the past 14,700 years
2022-04-25
[116]
간행물
Fennoscandian freshwater control on Greenland hydroclimate shifts at the onset of the Younger Dryas
2015-11-17
[117]
간행물
Rain driven by receding ice sheets as a cause of past climate change
[118]
간행물
Prolonged Heavy Snowfall During the Younger Dryas
2018-12-27
[119]
간행물
Arctic sea ice export as a driver of deglacial climate
2020-01-31
[120]
간행물
Younger Dryas sea level and meltwater pulse 1B recorded in Barbados reef crest coral Acropora palmata
2016-02
[121]
웹사이트
Aerosol pollution has caused decades of global dimming
https://news.agu.org[...]
2021-02-18
[122]
간행물
High resolution sediment and vegetation responses to Younger Dryas climate change in varved lake sediments from Meerfelder Maar, Germany
1999-03
[123]
간행물
40Ar/39Ar ages of sanidine phenocrysts from Laacher See Tephra (12,900 yr BP): Chronostratigraphic and petrological significance
1995-06
[124]
간행물
Precise date for the Laacher See eruption synchronizes the Younger Dryas
2021-07-01
[125]
간행물
Possible magmatic CO2 influence on the Laacher See eruption date
https://durham-repos[...]
2023-07-05
[126]
간행물
Premature rejection in science: The case of the Younger Dryas Impact Hypothesis
2022-01
[127]
간행물
Comprehensive refutation of the Younger Dryas Impact Hypothesis (YDIH)
2023-12
[128]
뉴스
Why won't this debate about an ancient cold snap die?
https://www.sciencen[...]
2018-06-26
[129]
간행물
No mineralogic or geochemical evidence of impact at Tall el-Hammam, a Middle Bronze Age city in the Jordan Valley near the Dead Sea
https://www.nature.c[...]
2022-03-25
[130]
간행물
Assessing the statistical uniqueness of the Younger Dryas: a robust multivariate analysis
2021-06-30
[131]
간행물
A new Greenland deep ice core
1982
[132]
간행물
The Atlantic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 and abrupt climate change.
2017
[133]
간행물
Was millennial scale climate change during the Last Glacial triggered by explosive volcanism?
2015-11-30
[134]
간행물
Ice core evidence for major volcanic eruptions at the onset of Dansgaard–Oeschger warming events
2022-09-02
[135]
문서
Molecular record of secular sea surface temperature changes on 100-year timescales for glacial terminations I, II and IV.
1992
[136]
서적
Paleoclimatology: Reconstructing climates of the Quaternary
Academic Press
[137]
간행물
A possible Younger Dryas-type event during Asian monsoonal Termination 3
[138]
간행물
Pleistocene glacial terminations triggered by synchronous changes in Southern and Northern Hemisphere insolation: The insolation canon hypothesis
http://www.soest.haw[...]
[139]
간행물
A Pliocene-Pleistocene stack of 57 globally distributed benthic δ18O records
http://www.lorraine-[...]
[140]
간행물
The Younger Dryas — an intrinsic feature of late Pleistocene climate change at millennial timescales
[141]
논문
A review on the Younger Dryas event
[142]
웹사이트
Day After Tomorrow Movie: Could Ice Age Occur Overnight?
http://news.national[...]
2004-05-18
[143]
웹사이트
地球と共に歩んで 用語集
http://www.nhk.or.jp[...]
[144]
웹사이트
新ドリアス期
https://kotobank.jp/[...]
[145]
웹사이트
熱塩海洋循環の停滞は何をもたらすのか
https://www.nagaitos[...]
[146]
웹사이트
http://www.agu.org/r[...]
[147]
서적
海のすべて
ニュートンプレス
2017
[148]
서적
食の人類史 ユーラシアの狩猟・採集、農耕、遊牧
中央公論新社
[149]
en:Image
英語版図 氷床コアのデータ参照
http://www.geo.arizo[...]
[150]
서적
The two-mile time machine: ice cores, abrupt climate change, and our fu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151]
논문
Abrupt increase in Greenland snow accumulation at the end of the Younger Dryas event.
https://doi.org/10.1[...]
1993
[152]
논문
Timing of abrupt climate change at the end of the Younger Dryas interval from thermally fractionated gases in polar ice.
https://doi.org/10.1[...]
1998
[153]
논문
Nanodiamonds in the Younger Dryas Boundary Sediment Layer
https://doi.org/10.1[...]
2009
[154]
간행물
Small game, the younger dryas, and the transition to agriculture in the southern levant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